본문 바로가기

2025 지방자치단체 세출 예산집행기준

정보마을 이장 2024. 4. 6.

2025 지방자치단체 세출예산 집행기준

2025년 지방자치단체 세출 예산집행기준

2025년 지방자치단체 세출 예산집행기준은 아래와 같습니다. 다운 받아서 잘 사용하시길 바랍니다. 

 

2025년 예산집행기준 다운로드▶

2025년 지방자치단체 세출 예산 집행 기준 상세 설명

2025년 지방자치단체의 세출 예산 집행기준은 행정안전부에서 매년 발표하는 "지방자치단체 예산편성 및 집행기준"에 따라 결정됩니다.
2025년 기준은 아직 공식적으로 전면 공개되지 않았지만,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기본 구조와 방향을 따릅니다.

2025년 지방자치단체 세출 예산집행기준 개요

발표 기관: 행정안전부
적용 대상: 전국 광역 및 기초 지방자치단체
적용 시점: 2025년 1월 1일 이후 집행분부터

핵심 방향 (2024년 기준과 연속성)

2025년에도 다음과 같은 원칙이 유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1. 재정 건전성 강화
    • 불요불급한 예산 집행 억제
    • 지방채 발행 자제 및 순세계잉여금 최소화
  2. 성과 중심 예산 집행
    • 사업별 성과목표 설정 및 이행 결과 평가 강화
    • 사업성과 중심의 예산배분 권고
  3. 사회적 약자 및 지역경제 우선
    • 복지, 일자리, 지역경제 회복 관련 예산 우선 집행
    • 민간위탁사업 등은 투명성과 성과 평가 강화
  4. 디지털·친환경 투자 확대
    • 디지털 전환 및 탄소중립 관련 투자 지속 권장
    • 에너지 절약형 사업 우선 반영

2025년 집행기준 주요 내용 (예상 요약)

항목기준 요약
인건비 정원 내 인건비는 기준 인건비표에 따라 집행. 초과 인건비는 집행 제한
기본경비 사무용품, 소모품은 전년 수준 이하 권고. 회의비, 업무추진비는 집행 내역 투명화 필요
민간위탁사업 성과지표 설정 필수. 사전 타당성 평가와 계약 체결 절차 엄격화
사업성 경비 성과 기반 집행계획 수립 의무화. 미집행 비율 높은 사업은 다음 해 반영 제한
행사성 경비 대규모 행사, 축제는 목적·성과 분석 및 사전심사 필요. 과도한 집행 지양
자산취득비 고가 장비 및 차량 구입 시 사업 타당성 및 활용도 분석 필수
보조금 민간보조사업은 자부담 원칙 준수 및 사업 성과보고서 제출 의무화
 

 

참고자료

  • 행정안전부 지방재정365
  • 2024년 「지방자치단체 예산편성 운영기준」 (2025년 기준 공표 시 갱신 예정)
  • 각 시·도 예산편성 지침 공문 및 예산서
728x90

댓글